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9년 첫 국제 경기를 치렀으며, FIFA 여자 월드컵에 4번, 올림픽에 2번 출전했다.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는 3번 우승을 차지했으며, 아시안 게임에서도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24년 FIFA 랭킹 10위를 기록하고 있다. 2006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심판 폭행 사건,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도핑 문제 등 논란이 있었다. 현재 감독은 리유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자 국가대표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대표하는 여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으로, 1999년 국제 경기에 처음 참가하여 2003년 세계 랭킹 13위까지 올랐으며, 올림픽 자력 출전은 없었으나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남북 단일팀으로 참가했고 세계 선수권 대회, 동계 아시안 게임, IIHF 챌린지 컵 오브 아시아에 꾸준히 참가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여자 국가대표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1955년 국제 배구 연맹에 가입하여 1970년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 1972년 뮌헨 올림픽 동메달을 획득하며 세계적인 강팀으로 활약했으나 1986년 이후 국제 대회 출전이 줄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대표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아시아 최초 8강 진출 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2010년 월드컵 본선 진출과 2026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최종 진출을 통해 재도약을 시도하고 있으며, 평양 릉라도 5월1일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종일관 선수가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대표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대표하는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아시안 게임 은메달(2014), 동아시아 경기 대회 금메달(2013), AFC U-23 아시안컵 8강(2016) 등의 성적을 거두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동방의 철쭉 |
협회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협회 |
하위 연맹 | EAFF (동아시아) |
연맹 | AFC (아시아) |
감독 | 리유일 |
최다 출장 선수 | 리금숙 (123) |
최다 득점 선수 | 리금숙 (40) |
홈 경기장 | 릉라도 경기장 김일성경기장 양각도 경기장 |
FIFA 트리그램 | PRK |
FIFA 최고 랭킹 | 5 |
FIFA 최고 랭킹 달성 시기 | 2006년 12월 – 2007년 6월; 2008년 9월 – 2010년 3월 |
FIFA 최저 랭킹 | 12 |
FIFA 최저 랭킹 달성 시기 | 2011년 7월 |
첫 경기 | 1989년 12월 21일 중국 4–1 북한 (홍콩) |
최대 점수차 승리 | 2001년 6월 21일 북한 24–0 싱가포르 (홍콩) |
최대 점수차 패배 | 2012년 7월 28일 프랑스 5–0 북한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
월드컵 | |
월드컵 출전 횟수 | 4 |
월드컵 첫 출전 | 1999년 |
월드컵 최고 성적 | 8강 (2007) |
올림픽 | |
올림픽 출전 횟수 | 2 |
올림픽 첫 출전 | 2008 |
올림픽 최고 성적 | 조별 리그 (2008, 2012) |
아시안컵 | |
아시안컵 출전 횟수 | 10 |
아시안컵 첫 출전 | 1989 |
아시안컵 최고 성적 | 우승 (2001, 2003, 2008) |
아시안 게임 | |
아시안 게임 출전 횟수 | 7 |
아시안 게임 첫 출전 | 1990 |
아시안 게임 최고 성적 | 우승 (2002) 우승 (2006) 우승 (2014) |
아시안 게임 메달 | 금메달 (2002 팀) 금메달 (2006 팀) 금메달 (2014 팀) 은메달 (1998 팀) 은메달 (2010 팀) 은메달 (2022 팀) 동메달 (1990 팀) |
2. 역사
북한 여자 축구는 1985년 평안남도를 시작으로 여러 팀이 창단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5] 1989년 1989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를 통해 국제 무대에 데뷔하였으나, 초기에는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대만 등에 밀려 어려움을 겪었다.[6]
1990년대에 들어서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성장세를 보였고, 1993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을 통해 1999 FIFA 여자 월드컵에 처음으로 진출하였다.
2000년대에는 2001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와 2003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아시아 최강자로 떠올랐다.[1]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과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 8강 진출,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 등 전성기를 맞이했다.[1]
2010년대에도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 은메달,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13, 2015,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3연속 우승 등 좋은 성적을 이어갔다. 다만,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도핑 문제로 인해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박탈당했다.[15]
2020년대에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국제 대회 참가가 제한되기도 했으나,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경쟁력을 입증했다.[18] 8강전에서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4-1로 대파했으며, 2024 파리 올림픽 예선 최종 예선에서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에 패하며 올림픽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8] 2024 EAFF E-1 챔피언십 예선에서는 전승 우승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2024년 6월 기준 FIFA 여자 월드 랭킹 10위를 기록하고 있다.[19]
2. 1. 1980년대
조선중앙통신의 자료에 따르면, 북한 여자 축구는 1985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최초의 여자 축구팀은 평안남도체육선수단에서 결성되었고, 이후 다른 여자 축구팀들이 속속 등장했다.[5] 1986년 5월 19일, 평양의 김일성경기장에서 최초의 여자 축구팀 친선 경기가 열렸다.[5]북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첫 국제 경기는 1989년 12월 21일, 1989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치러졌다. 홍콩에서 열린 이 경기에서 북한은 1대 4로 패했다. 같은 대회에서 북한은 대만에 1대 3으로 패하고, 태국에 4대 0으로 승리하며 조별 예선 3위를 기록했다.[6]
2. 2. 1990년대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을 7-0으로 대파하는 등 성장세를 보이며 동메달을 획득, 첫 국제 대회 메달을 따냈다. 1991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하며 월드컵 진출에는 실패했다. 1993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에 진출, 중국에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1997년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을 통해 사상 처음으로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1999년 1999 FIFA 여자 월드컵에 처음 출전하여 덴마크를 3-1로 꺾는 등 선전했지만, 나이지리아와 미국에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2. 3. 2000년대
2001년과 2003년에 AFC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아시아 여자 축구 최강자로 떠올랐다.[1]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과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 게임 2연패를 달성했다.[1]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8강에 진출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고,[1] 2008년 AFC 여자 아시안컵 우승으로 통산 3회 우승을 달성했다.[1]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처음 출전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2. 4. 2010년대
2010년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국제 대회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같은 해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에 출전했으나, 도핑 문제로 인해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출전 자격을 박탈당했다.[15]2013년, 2015년, 2017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에서 3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동아시아 지역 강호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다. 특히, 2014년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는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 게임에서 세 번째 우승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 5. 2020년대
2019 키프로스 여자 축구컵에서 우승한 후,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국제 대회 참가가 제한되었다.[15] 이 기간 동안 FIFA 공인 경기 부족으로 FIFA 랭킹에서 제외되기도 했으나,[16] 이후 복구되었다.[17]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다시 한번 경쟁력을 입증했다. 특히, 8강전에서는 대한민국을 상대로 4-1 대승을 거두는 저력을 보여주었다.[18]
경기 | 상대 | 점수 | 결과 |
---|---|---|---|
조별리그 1차전 | 싱가포르 | 7-0 승 | 승 |
조별리그 2차전 | 싱가포르 | 10-0 승 | 승 |
8강전 | 대한민국 | 4-1 승 | 승 |
준결승전 | 우즈베키스탄 | 8-0 승 | 승 |
결승전 | 일본 | 1-4 패 | 패 |
2024 파리 올림픽 예선에서는 2차 예선에서 중국을 꺾고, 대한민국과 비기는 등 선전했지만, 최종 예선에서 일본에 패하며 올림픽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18]
경기 | 상대 | 점수 | 결과 |
---|---|---|---|
1차전 | 중국 | 2-1 승 | 승 |
2차전 | 대한민국 | 0-0 무 | 무 |
3차전 | 태국 | 7-0 승 | 승 |
2024 EAFF E-1 챔피언십 예선에서는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전승 우승을 차지하며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경기 | 상대 | 점수 | 결과 |
---|---|---|---|
1차전 | 홍콩 | 11-0 승 | 승 |
2차전 | 몽골 | 19-0 승 | 승 |
3차전 | 북마리아나 제도 | 17-0 승 | 승 |
결승전 | 중화 타이베이 | 5-0 승 | 승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아시아 축구 연맹(AFC) 및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 소속으로, FIFA 여자 월드컵에 4회 연속 출전했고, 올림픽 축구에는 2회 출전했다. 2005년 이후 한때 아시아 최고 순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2024년 6월 기준 FIFA 여자 월드 랭킹에서 세계 10위를 기록하고 있다.[19]
3. 국제 대회 경력
최근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회 | 날짜 | 장소 | 상대 | 결과 | 비고 |
---|---|---|---|---|---|
2024 올림픽 예선 3차 예선 | 2월 24일 | 제다 | 0–0 | [20] | |
2024 올림픽 예선 3차 예선 | 2월 28일 | 도쿄 | 1-2 (패) | ||
친선 경기 | 7월 12일 | 모스크바 | 3-0 (승) | ||
친선 경기 | 7월 15일 | 모스크바 | 0-0 |
FIFA 여자 랭킹은 2003년부터 발표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현재 순위는 9위(2024년 12월)이다. 최고 순위는 5위(2010년 3월), 최저 순위는 12위(2011년 6월)이다.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
7 | -- 7 | -- 7 | -- 7 | -- 7 | 8 | -- 8 | -- 8 | -- 8 | 7 | -- 7 | -- 6 | -- 7 | -- 7 | -- 7 | -- 5 | -- 5 | -- 5 | -- 6 | -- 6 | -- 6 | -- 6 | -- 5 | -- 5 | -- 5 | -- 5 | -- 5 | -- 5 | -- 5 | -- 6 | -- 6 | -- 6 | -- 8 | -- 12 | -- 8 | -- 9 | -- 8 | -- 8 | -- 11 | -- 10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
-- 9 | -- 9 | -- 8 | -- 10 | -- 9 | -- 11 | -- 11 | -- 7 | -- 8 | -- 8 | -- 6 | -- 6 | -- 9 | -- 9 | -- 9 | -- 10 | -- 10 | -- 10 | -- 10 | -- 11 | -- 10 | -- 10 | -- 11 | -- 11 | -- 11 | -- 9 | -- 9 | -- 11 | -- 10 | -- 10 | -- 10 | - | -- 10 | -- 11 | -- 9 | -- 10 | -- 10 | -- 10 | -- 10 | -- 10 | -- 10 |
2023년 | 2024년 | ||||||
---|---|---|---|---|---|---|---|
- | - | - | -- 9 | -- 11 | -- 10 | -- 9 | -- 9 |
3. 1. FIFA 여자 월드컵
개최국 / 년 | 성적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991 | 예선 탈락 | |||||||
1995 | 불참 | |||||||
1999 | 조별리그 탈락 | 3 | 1 | 0 | 2 | 4 | 6 | -2 |
2003 | 조별리그 탈락 | 3 | 1 | 0 | 2 | 3 | 4 | -1 |
2007 | 8강 | 4 | 1 | 1 | 2 | 5 | 7 | -2 |
2011 | 조별리그 탈락 | 3 | 0 | 1 | 2 | 0 | 3 | -3 |
2015 | 출전 정지[15] | |||||||
2019 | 예선 탈락 | |||||||
2023 | 불참 | |||||||
2027년 | 미정 | |||||||
합계 | 출전 4회 | 13 | 3 | 2 | 8 | 12 | 20 | -8 |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발생한 도핑 문제로 인해 FIFA는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출전을 금지하는 징계를 내렸다.[15]
3. 2.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과 2012년 런던 올림픽에 출전했지만, 두 대회 모두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15] 2008년 대회에서는 나이지리아를 상대로 승리했고,[15] 2012년 대회에서는 콜롬비아를 상대로 승리했다.[15] 2024년 하계 올림픽 예선에서는 일본에 패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3차 예선)[18]